버스운전자격시험 기출문제(교통·운수 관련 법규 및 교통사고 유형(1부)

Ⅰ.교통·운수관련 법규 및 교통사고유형

교통, 운수관련 법규 및 교통사고 유형

01.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령과 관련된 용어의 정의로서 올바른 것은?① 관할관청: 자격시험시행기관② 운행계통: 노선의 기점에서 대기하고 있는 차량대수③ 노선: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하거나 운행하려는 구간④ 여객자동차운송사업: 타인의 공급에 따라 자동차를 사용하여 무상으로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

관할관청 국토교통부장관이나 특별시장, 광역시장, 특별자치시장, 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를 말한다.운행계통 노선의 기종점과 그 기종점간의 운행경로, 거리, 횟수 및 대수를 총칭 여객자동차운송사업 다른 사람의 공급에 따라 자동차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

02.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령에서 여객이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노선 사이에 설치한 장소를 무엇으로 정의하는가?① 정거장② 주차장③ 정거장④ 정류장03.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령상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하거나 운행하려는 구간이란 무엇에 대한 정의인가?①여객운송② 노선③ 운행계통④ 관할구간

노선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하거나 운행하려는 구간

04. 타인의 요구에 따라 자동차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은?① 화물자동차운송사업② 여객자동차운송사업③ 여객운송부가서비스④ 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5. 노선의 정의가 맞는 것은?①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운행하거나 운행하려는 구간② 자동차를 임시적으로 운행하거나 운행하려는 구간③ 자동차를 정기적으로 주차하려는 시점 또는 종점④ 자동차를 임시적으로 주차하려는 시점 또는 종점6. 회사 또는 학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그 소속원만의 통근, 통학목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업이 포함되는 운송사업은?①마을버스 ② 시내버스 ③ 전세버스 ④ 특수여객자동차

전세버스운송사업 운행계통을 정하지 아니하고 전국을 사업구역으로 정하여 하나의 운송계약에 따라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자동차를 사용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으로 회사 및 학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그 소속원만의 통근, 통학 목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송사업을 말한다.

7. 다음 중 운행계통을 정하지 않고 전국을 사업구역으로 하여 하나의 운송계약에 따라 승차정원 16인승 이상의 승합자동차를 사용하여 여객을 운송하는 사업은?① 전세버스운송사업② 농어촌버스운송사업③ 마을버스운송사업④ 시외버스운송사업8. 여객자동차운수사업에 사용되는 승합자동차의 차량이 다른 것은?① 시외버스운송사업용 ②특수여객자동차운송사업용(장례사차량:영구차) ③시내버스운송사업용 ④수요응답형운송사업용(버스)

특수여객자동차운송사업용 자동차로는 일반 장의 자동차 및 운구전용장의 자동차로 구분되는 특수형 승합자동차 또는 승용자동차가 사용된다.

9. 시외 우등고속버스에 쓰이는 자동차는 원래 이익출력이 자동차 총중량 1톤당 몇 마력 이상이어야 하는가?① 20마력 ②10마력 ③5마력 ④1마력 ※시외 우등 고속버스는 29명 이상 1톤 당 20마력 이상 10.시내버스 운송사업의 운행형태 중 시내좌석버스를 사용하며, 주로 고속국도, 주간선로 등을 이용하여 기종점으로부터 5km 이내에 위치한 각각 4개 이내의 정류장에 정차하고, 그 밖의 지점에서는 정차하지 않는 운행형태는?① 광역급행형 ②직행좌석형 ③좌석형 ④일반형

광역 급행형 운행 형태에 대한 설명이다.또한 광역급행형은 관할관청이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기점 및 종점으로부터 7.5킬로미터 이내에 위치하는 각각 6개 이내의 정류소에 정차할 수 있다.

11. 시외고속버스 또는 시외우등버스를 사용하여 운행거리가 100km 이상이고 운행구간의 60% 이상을 고속국도로 운행하며 기점과 중간에 정차하지 않는 운행형태를 가진 것은?① 광역급행형시외버스②고속형시외버스③직행형시외버스④일반형시외버스고속형 시외버스에 대한 설명으로 고속형 시외버스를 일반적으로 고속버스라고 부른다.#버스운전자격시험 #버스운전자격시험 #버스운전필기시험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