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편도염의 원인 치료

안녕하세요 편도는 목 안쪽과 코 뒤쪽에 위치한 면역기관입니다. 편도선은 인두 편도, 이인두 편도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림프구가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침입한 바이러스나 세균 등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편도염이 생기고 붓고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편도염이라고 하는데 갑자기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며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이 아프고 편도염이 붉게 붓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급성 편도염의 원인의 대부분은 세균, 바이러스 감염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연쇄구균 등의 다양한 원인균에 감염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원인균은 연쇄구균으로 비말감염으로 전파되어 감염과 염증이 발생합니다. 영유아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편도염이 자주 나타나는 편이며 취학연령 이후에는 세균감염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편도염은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환절기, 면역력이 약해지는 시기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코와 입으로 침투하는 병원균을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감염이 발생하여 염증으로 진행됩니다.

급성 편도염은 보통 구개 편도염을 말합니다. 구개 편도는 목 뒤 왼쪽/오른쪽 면에 있는 편도인데 입을 벌리면 보이는 부분입니다. 증상 급성 편도염은 갑작스러운 인후통과 이물감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오한과 고열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후 인후통이 점차 심해져 음식을 삼킬 뿐만 아니라 침을 삼키는 것조차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두통, 전신쇠약감, 무력감, 근육통, 관절통 등 전신증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합니다. 편도가 빨갛고 크게 부어오른 모습이 관찰되며 부분적으로 흰색 삼출액으로 덮여 있기도 합니다. 치료 합병증이 없는 급성 편도염은 거의 1주일 만에 증상이 좋아집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 섭취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일반적인 감기 치료와 비슷합니다.인후통을 줄이고 발열과 오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소염진통제를 사용하며 세균감염이 의심될 경우 항생제 치료를 병행합니다.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중간에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처방받은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먹는 약과 함께 가글, 인후 스프레이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글은 성분에 따라 살균작용 또는 소염진통작용을 나타내며 목스프레이도 부어있는 편도에 직접 작용하므로 빠른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편도염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손을 자주 씻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수분의 충분한 섭취와 휴식도 필요합니다.급성 편도염이 반복되면 만성 편도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편도염이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경우는 편도염 등의 치료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급성 편도염의 반복으로 인해 편도염이 비대해질 수 있고 만성적인 코막힘이나 구강호흡, 코골이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편도수술을 고려하는 기준은 적절한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1년에 6회 이상, 최근 2년간 1년에 3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재발성 편도염은 수술적으로 편도염을 절제하는 것이 좋을지도 모릅니다.또한 편도 주변의 농양이 반복되거나 만성 편도염으로 인후통, 구취 등이 지속되는 경우, 편도 비대로 인한 수면 무호흡증이나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도 수술이 필요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